K리그 득점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리그 득점상은 K리그 정규 리그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K리그1, K리그2, 리그컵, R리그에서 각각 득점왕을 선정했다. K리그1 득점상은 1983년부터, K리그2 득점상은 2013년부터, 리그컵 득점상은 1986년부터 2011년까지, R리그 득점상은 1990년,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시상했다. 각 리그 및 대회별 역대 득점왕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K리그1은 한국 프로축구 최상위 리그로, 1983년 출범 이후 매년 득점왕을 배출하고 있다. 다음은 K리그1 역대 득점왕 목록이다.
2. K리그1 수상자 (1983–현재)
시즌 선수 구단 득점 경기 수 경기당 득점 1983 박윤기 유공 코끼리 9 14 0.64 1984 백종철 현대 호랑이 16 28 0.57 1985 삐야퐁 피우온|피아퐁th 럭키금성 황소 12 21 0.57 1986 정해원 대우 로얄즈 10 19 0.53 1987 최상국 포항제철 아톰즈 15 30 0.50 1988 이기근 포항제철 아톰즈 12 23 0.52 1989 조긍연 포항제철 아톰즈 20 39 0.51 1990 윤상철 럭키금성 황소 12 30 0.40 1991 이기근 포항제철 아톰즈 16 37 0.43 1992 임근재 LG 치타스 10 30 0.33 1993 차상해 포항제철 아톰즈 10 23 0.43 1994 윤상철 LG 치타스 21 28 0.75 1995 노상래 전남 드래곤즈 15 26 0.58 1996 신태용 천안 일화 천마 18 24 0.75 1997 김현석 울산 현대 호랑이 9 17 0.53 1998 유상철 울산 현대 호랑이 14 20 0.70 1999 사샤 드라쿨리치|샤샤sr 수원 삼성 블루윙즈 18 26 0.69 2000 김도훈 전북 현대 모터스 12 20 0.60 2001 산드루 카르도주 두스 산투스|산드로pt 수원 삼성 블루윙즈 13 22 0.59 2002 에드미우송 디아스 지 루세나|에드밀손pt 전북 현대 모터스 14 27 0.52 2003 김도훈 성남 일화 천마 28 40 0.70 2004 주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모따pt 전남 드래곤즈 14 22 0.64 2005 레안드루 마샤두|마차도pt 울산 현대 호랑이 13 17 0.76 2006 우성용 성남 일화 천마 16 28 0.57 2007 이베라우두 지 제수스 페헤이라|까보레pt 경남 FC 17 25 0.68 2008 에두아르두 프란시스쿠 지 시우바 네투|두두pt 성남 일화 천마 15 26 0.58 2009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20 27 0.74 2010 유병수 인천 유나이티드 22 28 0.79 2011 데얀 다미아노비치|데얀sr FC 서울 23 29 0.79 2012 데얀 다미아노비치|데얀sr FC 서울 31 42 0.74 2013 데얀 다미아노비치|데얀sr FC 서울 19 29 0.66 2014 나타나에우 지 소자 산투스 주니오르|산토스pt 수원 삼성 블루윙즈 14 35 0.40 2015 김신욱 울산 현대 18 38 0.47 2016 정조국 광주 FC 20 31 0.65 2017 조나탕 아파레시두 다 시우바|조나탄pt 수원 삼성 블루윙즈 22 29 0.76 2018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라우 아우베스|말컹pt 경남 FC 26 31 0.84 2019 애덤 태가트|타가트영어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 33 0.61 2020 주니오르 네그랑| 주니오pt 울산 현대 26 27 0.96 2021 주민규 제주 유나이티드 22 34 0.65 2022 조규성 김천 상무/전북 현대 모터스 17 31 0.55 2023 주민규 울산 현대 17 36 0.47
데얀은 K리그1 역사상 최초로 3년 연속 득점왕(2011~2013)을 차지했다. K리그에서 외국인 선수 최초로 득점왕을 차지한 선수는 1999년 샤샤이다.
2. 1. K리그1 역대 득점왕
시즌 | 선수 | 구단 | 득점 | 경기 수 | 경기당 득점 |
---|---|---|---|---|---|
1983 | 박윤기 | 유공 코끼리 | 9 | 14 | 0.64 |
1984 | 백종철 | 현대 호랑이 | 16 | 28 | 0.57 |
1985 | 피아퐁 | 럭키금성 황소 | 12 | 21 | 0.57 |
1986 | 정해원 | 대우 로얄즈 | 10 | 19 | 0.53 |
1987 | 최상국 | 포항제철 아톰즈 | 15 | 30 | 0.50 |
1988 | 이기근 | 포항제철 아톰즈 | 12 | 23 | 0.52 |
1989 | 조긍연 | 포항제철 아톰즈 | 20 | 39 | 0.51 |
1990 | 윤상철 | 럭키금성 황소 | 12 | 30 | 0.40 |
1991 | 이기근 | 포항제철 아톰즈 | 16 | 37 | 0.43 |
1992 | 임근재 | LG 치타스 | 10 | 30 | 0.33 |
1993 | 차상해 | 포항제철 아톰즈 | 10 | 23 | 0.43 |
1994 | 윤상철 | LG 치타스 | 21 | 28 | 0.75 |
1995 | 노상래 | 전남 드래곤즈 | 15 | 26 | 0.58 |
1996 | 신태용 | 천안 일화 천마 | 18 | 24 | 0.75 |
1997 | 김현석 | 울산 현대 호랑이 | 9 | 17 | 0.53 |
1998 | 유상철 | 울산 현대 호랑이 | 14 | 20 | 0.70 |
1999 | 샤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8 | 26 | 0.69 |
2000 | 김도훈 | 전북 현대 모터스 | 12 | 20 | 0.60 |
2001 | 산드로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3 | 22 | 0.59 |
2002 | 에드밀손 | 전북 현대 모터스 | 14 | 27 | 0.52 |
2003 | 김도훈 | 성남 일화 천마 | 28 | 40 | 0.70 |
2004 | 모따 | 전남 드래곤즈 | 14 | 22 | 0.64 |
2005 | 마차도 | 울산 현대 호랑이 | 13 | 17 | 0.76 |
2006 | 우성용 | 성남 일화 천마 | 16 | 28 | 0.57 |
2007 | 까보레 | 경남 FC | 17 | 25 | 0.68 |
2008 | 두두 | 성남 일화 천마 | 15 | 26 | 0.58 |
2009 | 이동국 | 전북 현대 모터스 | 20 | 27 | 0.74 |
2010 | 유병수 | 인천 유나이티드 | 22 | 28 | 0.79 |
2011 | 데얀 | FC 서울 | 23 | 29 | 0.79 |
2012 | 데얀 | FC 서울 | 31 | 42 | 0.74 |
2013 | 데얀 | FC 서울 | 19 | 29 | 0.66 |
2014 | 산토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4 | 35 | 0.40 |
2015 | 김신욱 | 울산 현대 | 18 | 38 | 0.47 |
2016 | 정조국 | 광주 FC | 20 | 31 | 0.65 |
2017 | 조나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2 | 29 | 0.76 |
2018 | 말컹 | 경남 FC | 26 | 31 | 0.84 |
2019 | 타가트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 | 33 | 0.61 |
2020 | 주니오 | 울산 현대 | 26 | 27 | 0.96 |
2021 | 주민규 | 제주 유나이티드 | 22 | 34 | 0.65 |
2022 | 조규성 | 김천 상무/전북 현대 모터스 | 17 | 31 | 0.55 |
2023 | 주민규 | 울산 현대 | 17 | 36 | 0.47 |
데얀은 K리그1 역사상 최초로 3년 연속 득점왕(2011~2013)을 차지했다.
2. 2. K리그1 득점왕 관련 기록
K리그1 득점왕 관련 기록은 다음과 같다.연도 | 선수 | 클럽 | 득점 | 경기 수 | 경기당 득점 |
---|---|---|---|---|---|
1983 | 박윤기한국어 | 유공 코끼리 | 9 | 14 | 0.64 |
1984 | 백종철한국어 | 현대 호랑이 | 16 | 28 | 0.57 |
1985 | 피야퐁 퓨온|피아퐁th | 럭키금성 황소 | 12 | 21 | 0.57 |
1986 | 정해원한국어 | 대우 로얄즈 | 10 | 19 | 0.53 |
1987 | 최상국한국어 | 포항제철 아톰스 | 15 | 30 | 0.50 |
1988 | 이기근한국어 | 포항제철 아톰스 | 12 | 23 | 0.52 |
1989 | 조긍연한국어 | 포항제철 아톰스 | 20 | 39 | 0.51 |
1990 | 윤상철한국어 | 럭키금성 황소 | 12 | 30 | 0.40 |
1991 | 이기근한국어 | 포항제철 아톰스 | 16 | 37 | 0.43 |
1992 | 임근재한국어 | LG 치타스 | 10 | 30 | 0.33 |
1993 | 차상해한국어 | 포항제철 아톰스 | 10 | 23 | 0.43 |
1994 | 윤상철한국어 | LG 치타스 | 21 | 28 | 0.75 |
1995 | 노상래한국어 | 전남 드래곤즈 | 15 | 26 | 0.58 |
1996 | 신태용한국어 | 천안 일화 천마 | 18 | 24 | 0.75 |
1997 | 김현석 (축구 선수)|김현석한국어 | 울산 현대 호랑이 | 9 | 17 | 0.53 |
1998 | 유상철한국어 | 울산 현대 호랑이 | 14 | 20 | 0.70 |
1999 | 사샤 드라쿨리치|샤샤sr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8 | 26 | 0.69 |
2000 | 김도훈한국어 | 전북 현대 모터스 | 12 | 20 | 0.60 |
2001 | 산드로 카르도소|산드로 Cpt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3 | 22 | 0.59 |
2002 | 에드밀손|에드밀손pt | 전북 현대 모터스 | 14 | 27 | 0.52 |
2003 | 김도훈한국어 | 성남 일화 천마 | 28 | 40 | 0.70 |
2004 | 모타pt | 전남 드래곤즈 | 14 | 22 | 0.64 |
2005 | 레안드로 마차도|마차도pt | 울산 현대 호랑이 | 13 | 17 | 0.76 |
2006 | 우성용한국어 | 성남 일화 천마 | 16 | 28 | 0.57 |
2007 | 카보레pt | 경남 FC | 17 | 25 | 0.68 |
2008 | 두두pt | 성남 일화 천마 | 15 | 26 | 0.58 |
2009 | 이동국한국어 | 전북 현대 모터스 | 20 | 27 | 0.74 |
2010 | 유병수한국어 | 인천 유나이티드 | 22 | 28 | 0.79 |
2011 | 데얀 다먀노비치|데얀sr | FC 서울 | 23 | 29 | 0.79 |
2012 | 데얀 다먀노비치|데얀sr | FC 서울 | 31 | 42 | 0.74 |
2013 | 데얀 다먀노비치|데얀sr | FC 서울 | 19 | 29 | 0.66 |
2014 | 나사나엘 데 소자 산토스 주니오르|산토스pt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4 | 35 | 0.40 |
2015 | 김신욱한국어 | 울산 현대 | 18 | 38 | 0.47 |
- 1999년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적의 샤샤 선수가 외국인 선수로는 처음으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1년 브라질 국적의 산드로 C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2년 포르투갈 국적의 에드밀손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4년 브라질 국적의 모타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5년 브라질 국적의 마차도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7년 브라질 국적의 카보레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8년 브라질 국적의 두두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몬테네그로 국적의 데얀 선수가 3년 연속 득점왕을 차지하며 K리그 역사상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
- 2014년 브라질 국적의 산토스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3. K리그2 수상자 (2013–현재)
K리그2는 2013년 K리그 챌린지라는 이름으로 출범하여 매년 득점왕을 배출하고 있다. 득점 수가 같을 경우에는 출전 경기 수가 적은 선수에게 득점상이 수여되며, 출전 경기 수도 같을 경우에는 출전 시간이 적은 선수가 득점상을 받게 된다.
3. 1. K리그2 역대 득점왕
시즌 | 선수 | 구단 | 득점 | 경기 수 | 경기당 득점 |
---|---|---|---|---|---|
2013 | 이근호|李根鎬한국어 | 상주 상무 | 15 | 25 | 0.60 |
2014 | 아드리아누|Adrianopt | 대전 시티즌 | 27 | 32 | 0.84 |
2015 | 조나탄|Jonatanpt | 대구 FC | 26 | 39 | 0.67 |
2016 | 김동찬|金東燦한국어 | 대전 시티즌 | 20 | 39 | 0.51 |
2017 | 말컹|Marcos Vinícius Amaral Alvespt | 경남 FC | 22 | 32 | 0.69 |
2018 | 나상호|羅相浩한국어 | 광주 FC | 16 | 31 | 0.51 |
2019 | 펠리페|Felipept | 광주 FC | 19 | 27 | 0.70 |
2020 | 안병준|安柄俊한국어 | 수원 FC | 21 | 26 | 0.81 |
2021 | 부산 아이파크 | 23 | 27 | 0.85 | |
2022 | 유강현|兪康賢한국어 | 충남 아산 | 19 | 40 | 0.48 |
2023 | 루이스|Luis Minaes | 김포 FC | 16 | 34 | 0.4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의 안병준은 2020년과 2021년, 2년 연속 K리그2 득점왕을 차지하였다.
3. 2. K리그2 득점왕 관련 기록
연도 | 선수 | 클럽 | 득점 | 경기 수 | 경기당 득점 |
---|---|---|---|---|---|
2013 | 이근호|李根鎬한국어 | 상주 상무 | 15 | 25 | 0.60 |
2014 | 아드리아노 미카엘 잭슨|Adriano Michael Jacksonpt | 대전 시티즌 | 27 | 32 | 0.84 |
2015 | 조나탄 고이아노|Johnathan Goianopt | 대구 FC | 26 | 39 | 0.67 |
2016 | 김동찬|金東燦한국어 | 대전 시티즌 | 20 | 39 | 0.51 |
2017 |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아마랄 알베스|Marcos Vinícius Amaral Alvespt | 경남 FC | 22 | 32 | 0.69 |
2018 | 나상호|羅相浩한국어 | 광주 FC | 16 | 31 | 0.52 |
2019 | 펠리페|Felipept | 광주 FC | 19 | 27 | 0.70 |
2020 | 안병준|安柄俊한국어 | 수원 FC | 21 | 26 | 0.81 |
2021 | 안병준|安柄俊한국어 | 부산 아이파크 | 23 | 34 | 0.68 |
2022 | 유강현|兪康賢한국어 | 충남 아산 | 19 | 40 | 0.48 |
2023 | 루이스 미나|Luis Minaes | 김포 FC | 16 | 34 | 0.47 |
2024 | 브루노 모타|Bruno Motapt | 천안 시티 | 16 | 35 | 0.46 |
4. 리그컵 수상자 (1986, 1992–2011)
리그컵은 1986년 프로축구선수권대회라는 명칭으로 처음 개최되었으며, 1992년부터 2011년까지 K리그의 공식 컵대회로 운영되었다. 득점수가 동일할 경우에는 출장 경기 수가 적은 선수, 출장 경기 수도 같으면 출장 시간이 적은 선수가 득점상을 받았다. 리그컵의 모든 경기(예선 조별 리그부터 결승전까지) 득점을 합산하여 득점상을 결정했다. 1994년 아디다스컵에서는 출장 경기 수까지만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6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한 임재선과 Раде Богдановић|라데 보그다노비치|Rade Bogdanovićsr가 공동 득점상을 수상했다.
4. 1. 리그컵 역대 득점왕
시즌 | 선수 | 구단 | 득점 | 경기수 | 경기당득점 |
---|---|---|---|---|---|
1986 | 함현기 | 현대 호랑이 | 9 | 15 | 0.60 |
1992 | 노수진 | 유공 코끼리 | 5 | 6 | 0.83 |
1993 | 최문식 | 포항제철 아톰즈 | 3 | 2 | 1.50 |
19941 | 임재선 | 현대 호랑이 | 4 | 6 | 0.67 |
Раде Богдановић|라데 보그다노비치|Rade Bogdanovićsr | 포항제철 아톰즈 | ||||
1995 | 김현석 | 현대 호랑이 | 6 | 7 | 0.86 |
1996 | 이원식 | 부천 유공 | 5 | 6 | 0.83 |
1997 | 서정원 | 안양 LG 치타스 | 8 | 9 | 0.89 |
1997프 | Радивоје Манић|라디보예 마니치|Radivoje Manićsr | 부산 대우 로얄즈 | 6 | 7 | 0.86 |
1998 | 김현석 | 울산 현대 호랑이 | 11 | 10 | 1.10 |
1998필 | 김종건 | 울산 현대 호랑이 | 7 | 9 | 0.78 |
1999 | Денис Лактионов|데니스 락티오노프|Denis Laktionovru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 | 3 | 1.00 |
1999대 | 김종건 | 울산 현대 호랑이 | 6 | 8 | 0.75 |
2000 | 고종수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 | 2 | 1.00 |
2000대 | 이원식 | 부천 SK | 6 | 10 | 0.60 |
2001 | 김도훈 | 전북 현대 모터스 | 7 | 9 | 0.78 |
2002 | Саша Дракулић|사샤 드라쿨리치|Saša Drakulićsr | 성남 일화 천마 | 10 | 11 | 0.91 |
2003 | 대회 미개최 | ||||
2004 | José Carlos Ferreira Filho|조제 카를루스 페헤이라 필류|José Carlos Ferreira Filhopt | 울산 현대 호랑이 | 7 | 7 | 1.00 |
2005 | Sandro Hiroshi|산드로 히로시|Sandro Hiroshipt | 대구 FC | 7 | 12 | 0.58 |
2006 | 최성국 | 울산 현대 호랑이 | 8 | 13 | 0.62 |
2007 | Luiz Carlos Fernandes|루이스 카를루스 페르난지스|Luiz Carlos Fernandespt | 대구 FC | 7 | 9 | 0.78 |
2008 | Eninho|에니우 올리베이라 주니오르|Eninhopt | 대구 FC | 9 | 8 | 1.13 |
2009 | 유창현 | 포항 스틸러스 | 4 | 5 | 0.80 |
2010 | Дејан Дамјановић|데얀 다미아노비치|Dejan Damjanovićsr | FC 서울 | 6 | 7 | 0.86 |
2011 | 김신욱 | 울산 현대 | 11 | 8 | 1.38 |
1 1994년 아디다스컵의 경우 당시 출장 경기 수까지만 기준이었기 때문에 6경기 출장으로 동일한 임재선 선수와 라데 선수가 공동 득점상을 수상했다.
- 득점수가 동일할 경우 출장 경기 수가 적은 선수, 출장 경기 수도 동일할 경우 출장 시간이 적은 선수가 득점상 수상자로 결정된다.
- 리그컵 전 경기(예선 조별리그부터 본선 토너먼트 결승전까지) 득점 수로 결정한다.
4. 2. 리그컵 득점왕 관련 기록
기록 | 선수 | 클럽 | 비고 |
---|---|---|---|
최다 득점왕 | 김현석 (2회) | 울산 현대 호랑이 | 1995, 1998 |
최다 득점 | 김현석 (11골) | 울산 현대 호랑이 | 1998 |
김신욱 (11골) | 울산 현대 | 2011 | |
경기당 최다 득점 | 김신욱 (1.38골) | 울산 현대 | 2011 |
5. R리그 수상자 (1990, 2000–2012)
R리그는 프로 2군 리그로서, 유망주를 발굴하고 선수들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운영되었다. 1990년에 처음 시작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R리그 득점상이 수여되었다.
(※ 하위 섹션인 'R리그 역대 득점왕', 'R리그 득점왕 관련 기록'과 중복되는 내용은 작성되지 않음.)
5. 1. R리그 역대 득점왕
시즌 | 선수 | 구단 | 득점 | 경기 수 | 경기당 득점 |
---|---|---|---|---|---|
1990 | 김동해 | 럭키금성 황소 | 7 | ? | ? |
2000 | 왕정현 | 안양 LG 치타스 | 8 | 8 | 1.00 |
2001 | 황인수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0 | 13 | 0.77 |
2002 | 이선우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7 | 13 | 0.54 |
2003 | 백영철 | 성남 일화 천마 | 8 | 13 | 0.62 |
2004 | 부영태 | 부산 아이파크 | 8 | 8 | 1.00 |
2005 | 한동원 | FC 서울 | 10 | 20 | 0.50 |
2006 | 송근수 | 광주 상무 불사조 | 11 | 16 | 0.69 |
2007 | 윤준수 | 전남 드래곤즈 | 8 | 16 | 0.50 |
2008 | 유창현 | 포항 스틸러스 | 13 | 23 | 0.57 |
2009 | 송제헌 | 포항 스틸러스 | 8 | 13 | 0.62 |
2010 | 고메스 | 제주 유나이티드 FC | 7 | 3 | 2.33 |
2011 | 정성민 | 강원 FC | 10 | 17 | 0.59 |
2012 | 김영후 | 경찰 축구단 | 11 | 14 | 0.79 |
R리그는 젊은 선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했으며, 득점왕 출신 선수들이 K리그에서 활약하는 경우가 많았다.
5. 2. R리그 득점왕 관련 기록
연도 | 선수 | 클럽 | 득점 | 경기 수 | 경기당 득점 |
---|---|---|---|---|---|
1990 | 김동해|김동해한국어 | 럭키금성 황소 | 7 | ? | ? |
2000 | 왕정현|왕정현한국어 | 안양 LG 치타스 | 8 | 8 | 1.00 |
2001 | 한인수|한인수한국어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0 | 13 | 0.77 |
2002 | 이승우|이승우한국어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7 | 13 | 0.54 |
2003 | 백영철|백영철한국어 | 성남 일화 천마 | 8 | 13 | 0.62 |
2004 | 부요태|부요태한국어 | 부산 아이파크 | 8 | 8 | 1.00 |
2005 | 한동원|한동원한국어 | FC 서울 | 10 | 20 | 0.50 |
2006 | 손광수|손광수한국어 | 상주 상무 FC | 11 | 16 | 0.69 |
2007 | 연제운|연제운한국어 | 전남 드래곤즈 | 8 | 16 | 0.50 |
2008 | 유창현|유창현한국어 | 포항 스틸러스 | 13 | 23 | 0.57 |
2009 | 송제헌|송제헌한국어 | 대구 FC | 8 | 13 | 0.62 |
2010 | 에랄도 아니시오 고메스|고메스pt | 제주 유나이티드 FC | 7 | 3 | 2.33 |
2011 | 정성민|정성민한국어 | 강원 FC | 10 | 17 | 0.59 |
2012 | 김영후|김영후한국어 | 경찰 축구단 | 11 | 14 | 0.79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